Difference between revisions of "Language/German/Grammar/Subject-and-Verb/ko"
< Language | German | Grammar | Subject-and-Verb
Jump to navigation
Jump to search
m (Quick edit) |
m (Quick edit) |
||
Line 120: | Line 120: | ||
==="일반주어 man"이란? (네이티브는 쉬운 독일어로 말한다# 012 ...=== | ==="일반주어 man"이란? (네이티브는 쉬운 독일어로 말한다# 012 ...=== | ||
<youtube>https://www.youtube.com/watch?v=uBY5bO73wE4</youtube> | <youtube>https://www.youtube.com/watch?v=uBY5bO73wE4</youtube> | ||
==기타 수업== | |||
* [[Language/German/Grammar/Cases:-Nominative-and-Accusative/ko|0에서 A1까지의 과정 → 문법 → 격: 주격과 목적격]] | |||
* [[Language/German/Grammar/Personal-Pronouns/ko|0~A1 과정 → 문법 → 인칭 대명사]] | |||
* [[Language/German/Grammar/Possessive-Pronouns/ko|0 to A1 Course → 문법 → 소유격 대명사]] | |||
* [[Language/German/Grammar/Temporal-Prepositions/ko|0 to A1 Course → 문법 → 시간 전치사]] | |||
* [[Language/German/Grammar/Using-Prepositions/ko|0 to A1 Course → 문법 → 전치사 사용법]] | |||
* [[Language/German/Grammar/Plural-Forms/ko|0 to A1 Course → 문법 → 복수형]] | |||
* [[Language/German/Grammar/Using-Time-Expressions/ko|0~A1 코스 → 문법 → 시간 표현 사용하기]] | |||
* [[Language/German/Grammar/Two-Way-Prepositions/ko|0 to A1 Course → 문법 → 양방향 전치사]] | |||
* [[Language/German/Grammar/Verb-Forms/ko|0 to A1 Course → 문법 → 동사 형태]] | |||
* [[Language/German/Grammar/Talking-About-Obligations/ko|0 to A1 Course → 문법 → 의무에 대해 이야기하기]] | |||
* [[Language/German/Grammar/Comparative-and-Superlative-Forms/ko|0 to A1 Course → 문법 → 비교급과 최상급]] | |||
* [[Language/German/Grammar/Noun-and-Gender/ko|0 to A1 Course → 문법 → 명사와 성별]] | |||
* [[Language/German/Grammar/Descriptive-Adjectives/ko|0 to A1 Course → 문법 → 형용사]] | |||
* [[Language/German/Grammar/Separable-Verbs/ko|0 to A1 Course → 문법 → 분리동사]] | |||
{{German-Page-Bottom}} | {{German-Page-Bottom}} |
Revision as of 12:56, 13 May 2023
제 1단계: 주어와 동사
독일어 문장을 구성하는 기본 단위는 주어와 동사입니다. 주어는 문장에서 누구나 무엇인가를 나타내는 단어이며, 동사는 주어가 하는 행동이나 상태를 나타내는 단어입니다. 이 두 가지 요소를 잘 이해하면, 기본 문장을 구성하는 것은 매우 쉬워집니다.
주어
주어는 문장에서 누구나 무엇인가를 나타내는 단어입니다. 주어는 항상 동사와 함께 쓰입니다. 주어는 다음과 같은 종류가 있습니다:
- 인칭 대명사 (ich, du, er/sie/es, wir, ihr, sie/Sie)
- 명사 (Frau, Mann, Hund, Katze, Buch, etc.)
- 대명사 (mein, dein, sein, ihr, unser, euer, ihr/Ihr)
- 수사 (eins, zwei, drei, etc.)
주어는 항상 동사와 일치해야 합니다. 다음 예시를 보세요:
독일어 | 발음 | 한국어 |
---|---|---|
Ich trinke. | 이히 트링케 | 나는 마신다. |
Du trinkst. | 두 트링크스트 | 너는 마신다. |
Er trinkt. | 에어 트링크트 | 그는 마신다. |
Wir trinken. | 비어 트링켄 | 우리는 마신다. |
Ihr trinkt. | 이어 트링크트 | 너희는 마신다. |
Sie trinken. | 지 트링켄 | 그들은 마신다. |
동사
동사는 주어가 하는 행동이나 상태를 나타내는 단어입니다. 독일어 동사는 다양한 형태를 가지고 있으며, 시제, 인칭, 수, 어말어미 등에 따라 변화합니다. 다음은 "trinken"이라는 동사의 변화 양식입니다:
시제 | 인칭 | 수 | 어말어미 | 독일어 | 한국어 |
---|---|---|---|---|---|
현재 | ich | 단수 | -e | trinke | 나는 마신다. |
du | -st | trinkst | 너는 마신다. | ||
er/sie/es | -t | trinkt | 그는 마신다. | ||
wir | 복수 | -en | trinken | 우리는 마신다. | |
ihr | -t | trinkt | 너희는 마신다. | ||
sie/Sie | -en | trinken | 그들은 마신다. |
동사의 시제와 인칭, 수, 어말어미를 알아야 주어와 동사를 올바르게 매칭할 수 있습니다. 다음 예시를 보세요:
독일어 | 발음 | 한국어 |
---|---|---|
Ich trinke Wasser. | 이히 트링케 바서 | 나는 물을 마신다. |
Du trinkst Tee. | 두 트링크스트 테 | 너는 차를 마신다. |
Er trinkt Kaffee. | 에어 트링크트 카페 | 그는 커피를 마신다. |
Wir trinken Saft. | 비어 트링켄 자프트 | 우리는 주스를 마신다. |
Ihr trinkt Milch. | 이어 트링크트 밀히 | 너희는 우유를 마신다. |
Sie trinken Bier. | 지 트링켄 비어 | 그들은 맥주를 마신다. |
제 2단계: 연습 문제
이제 주어와 동사를 이용해 기본 문장을 만들어 보세요. 다음 동사를 사용하세요: "spielen" (놀다), "lesen" (읽다), "essen" (먹다), "schlafen" (잠자다).
- Ich ___.
- Du ___.
- Er/sie/es ___.
- Wir ___.
- Ihr ___.
- Sie/Sie ___.
정답은 다음과 같습니다:
- Ich spiele.
- Du spielst.
- Er/sie/es spielt.
- Wir spielen.
- Ihr spielt.
- Sie/Sie spielen.
마무리
지금까지 주어와 동사의 기본을 배웠습니다. 이제 여러분은 독일어 기본 문장을 구성하는 방법을 알고 있습니다. 계속해서 다음 수업에서 만나요!
동영상
"일반주어 man"이란? (네이티브는 쉬운 독일어로 말한다# 012 ...
기타 수업
- 0에서 A1까지의 과정 → 문법 → 격: 주격과 목적격
- 0~A1 과정 → 문법 → 인칭 대명사
- 0 to A1 Course → 문법 → 소유격 대명사
- 0 to A1 Course → 문법 → 시간 전치사
- 0 to A1 Course → 문법 → 전치사 사용법
- 0 to A1 Course → 문법 → 복수형
- 0~A1 코스 → 문법 → 시간 표현 사용하기
- 0 to A1 Course → 문법 → 양방향 전치사
- 0 to A1 Course → 문법 → 동사 형태
- 0 to A1 Course → 문법 → 의무에 대해 이야기하기
- 0 to A1 Course → 문법 → 비교급과 최상급
- 0 to A1 Course → 문법 → 명사와 성별
- 0 to A1 Course → 문법 → 형용사
- 0 to A1 Course → 문법 → 분리동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