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ifference between revisions of "Language/French/Vocabulary/Cardinal-and-Ordinal-Numbers/ko"

From Polyglot Club WIKI
Jump to navigation Jump to search
m (Quick edit)
m (Quick edit)
 
(One intermediate revision by the same user not shown)
Line 1: Line 1:


{{French-Page-Top}}
{{French-Page-Top}}
<div class="pg_page_title"><span lang>[[Language/French/ko|프랑스어]] </span> → <span cat>[[Language/French/Vocabulary/ko|어휘]]</span> → <span level>[[Language/French/Grammar/0-to-A1-Course/ko|0부터 A1 코스]]</span> → <span title>기수와 서수</span></div>
== 서론 ==
프랑스어를 배우는 데 있어 기수(cardinal numbers)와 서수(ordinal numbers)는 매우 중요한 요소입니다. 일상적인 대화에서 숫자를 사용하는 것은 필수적이며, 특히 나이, 날짜, 순서 등을 표현할 때 필요합니다. 이번 수업에서는 기수와 서수를 어떻게 표현하고 사용하는지에 대해 배울 것입니다. 기수는 단순히 수량을 나타내고, 서수는 순서를 나타내는 숫자입니다. 이 두 가지 숫자 체계를 잘 이해하고 활용하는 것이 프랑스어를 더욱 잘 구사하는 데 도움이 될 것입니다.
이번 수업의 구조는 다음과 같습니다:
1. 기수와 서수의 정의 및 중요성
2. 기수의 표현과 예시


<div class="pg_page_title"><span lang="">프랑스어</span> → <span cat="">어휘</span> → <span level="">0 to A1 Course</span> → <span title="">숫자</span></div>
3. 서수의 표현과 예시
 
4. 연습 문제와 그 해답


__TOC__
__TOC__


== 1. 숫자란 무엇인가요? ==
=== 기수와 서수의 정의 및 중요성 ===


프랑스어에서 숫자(Nombres)는 일상생활에서 빈번하게 사용되는 중요한 단어들입니다. 이번 수업에서는 프랑스어 카디날(Cardinal) 숫자와 오르디날(Ordinal) 숫자를 배우게 됩니다.
기수는 우리가 물건의 수를 셀 때 사용하는 숫자입니다. 예를 들어, "하나", "둘", "셋" 등의 숫자가 기수입니다. 반면, 서수는 순서나 위치를 표현할 때 사용하는 숫자입니다. 예를 들어, "첫 번째", "두 번째", "세 번째" 등이 서수입니다.  


== 2. 카디날 숫자 (Cardinal numbers) ==
이 두 가지 숫자 체계는 프랑스어에서 매우 자주 사용되므로, 이를 잘 이해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기수는 가격을 말할 때, 서수는 이벤트의 순서를 말할 때 등 여러 상황에서 필요합니다.  


카디날 숫자는 일반적인 수를 나타냅니다. 0부터 100까지의 숫자를 배워 봅시다.
=== 기수의 표현과 예시 ===
 
프랑스어에서 기수는 다음과 같은 형식으로 표현됩니다:


{| class="wikitable"
{| class="wikitable"
! 프랑스어 !! 발음 !! 한국어
 
! French !! Pronunciation !! Korean
 
|-
|-
| zéro || 제로 || 0
 
| un || (œ̃) || 하나
 
|-
|-
| un || || 1
 
| deux || (dø) ||
 
|-
|-
| deux || || 2
 
| trois || (tʁwɑ) ||
 
|-
|-
| trois || 트와 || 3
 
| quatre || (katʁ) ||
 
|-
|-
| quatre || 카트르 || 4
 
| cinq || (sɛ̃k) || 다섯
 
|-
|-
| cinq || 쌍크 || 5
 
| six || (sis) || 여섯
 
|-
|-
| six || 시스 || 6
 
| sept || (sɛt) || 일곱
 
|-
|-
| sept || 쎄빠 || 7
 
| huit || (ɥit) || 여덟
 
|-
|-
| huit || 위트 || 8
 
| neuf || (nœf) || 아홉
 
|-
|-
| neuf || 느프 || 9
 
| dix || (dis) ||
 
|-
|-
| dix || 디스 || 10
 
| vingt || (vɛ̃) || 스무
 
|-
|-
| onze || 온즈 || 11
 
| trente || (tʁɑ̃t) || 서른
 
|-
|-
| douze || 두즈 || 12
 
| quarante || (kaʁɑ̃t) || 마흔
 
|-
|-
| treize || 트레즈 || 13
 
| cinquante || (sɛ̃kɑ̃t) ||
 
|-
|-
| quatorze || 카토르즈 || 14
 
| soixante || (swasɑ̃t) || 예순
 
|-
|-
| quinze || 칭즈 || 15
 
| soixante-dix || (swasɑ̃t-di) || 일흔
 
|-
|-
| seize || 세즈 || 16
 
| quatre-vingts || (katʁə-vɛ̃) || 여든
 
|-
|-
| dix-sept || -세즈 || 17
 
| quatre-vingt-dix || (katʁə-vɛ̃-di) || 아흔
 
|-
|-
| dix-huit || 디-위트 || 18
 
| cent || (sɑ̃) ||
 
|-
|-
| dix-neuf || 디-느프 || 19
 
| mille || (mil) ||
 
|}
 
기수는 주로 물건의 수를 세거나 가격을 말할 때 사용됩니다. 예를 들어, "Il y a deux pommes." (사과가 두 개 있습니다.)와 같이 사용할 수 있습니다.
 
=== 서수의 표현과 예시 ===
 
서수는 순서를 나타내는 숫자입니다. 프랑스어 서수는 기수에 특정한 접미사를 추가하여 형성됩니다. 기본적인 서수 표현은 다음과 같습니다:
 
{| class="wikitable"
 
! French !! Pronunciation !! Korean
 
|-
|-
| vingt || || 20
 
| premier || (pʁə.mje) || 첫 번째
 
|-
|-
| trente || 트롱트 || 30
 
| deuxième || (dø.ziɛm) || 두 번째
 
|-
|-
| quarante || 카롱트 || 40
 
| troisième || (tʁwɑ.zjɛm) || 세 번째
 
|-
|-
| cinquante || 쌍카롱트 || 50
 
| quatrième || (ka.tʁi.ɛm) || 네 번째
 
|-
|-
| soixante || 쇼생트 || 60
 
| cinquième || (sɛ̃k.jɛm) || 다섯 번째
 
|-
|-
| soixante-dix || 쇼생디스 || 70
 
| sixième || (si.zjɛm) || 여섯 번째
 
|-
|-
| quatre-vingts || 카트르뱅 || 80
 
| septième || (sɛt.jɛm) || 일곱 번째
 
|-
|-
| quatre-vingt-dix || 카트르뱅디스 || 90
 
| huitième || (ɥi.tjɛm) || 여덟 번째
 
|-
|-
| cent || 쌍 || 100
|}


위의 표를 보면, 프랑스어에서 70과 90의 발음이 다른 것을 알 수 있습니다. 70은 "soixante-dix"로 발음하고, 90은 "quatre-vingt-dix"로 발음합니다.
| neuvième || (nœ.vjɛm) || 아홉 번째


== 3. 오르디날 숫자 (Ordinal numbers) ==
|-


오르디날 숫자는 순서를 나타냅니다. 1부터 10까지의 숫자를 배워 봅시다.
| dixième || (di.zjɛm) || 열 번째


{| class="wikitable"
! 프랑스어 !! 발음 !! 한국어
|-
|-
| premier || 프미에 || 1st
 
| vingtième || (vɛ̃.tjɛm) || 스무 번째
 
|-
|-
| deuxième || 드지엠 || 2nd
 
| trentième || (tʁɑ̃.tjɛm) || 서른 번째
 
|-
|-
| troisième || 트르아지엠 || 3rd
 
| quarantième || (ka.ʁɑ̃.tjɛm) || 마흔 번째
 
|-
|-
| quatrième || 카트르지엠 || 4th
 
| cinquantième || (sɛ̃.kɑ̃.tjɛm) || 쉰 번째
 
|-
|-
| cinquième || 쌍키엠 || 5th
 
| soixantième || (swa.sɑ̃.tjɛm) || 예순 번째
 
|-
|-
| sixième || 시시엠 || 6th
 
| soixante-dixième || (swa.sɑ̃t.di.zjɛm) || 일흔 번째
 
|-
|-
| septième || 쎄빼시엠 || 7th
 
| quatre-vingtième || (ka.tʁə.vɛ̃.tjɛm) || 여든 번째
 
|-
|-
| huitième || 위시엠 || 8th
 
| quatre-vingt-dixième || (ka.tʁə.vɛ̃.di.zjɛm) || 아흔 번째
 
|-
|-
| neuvième || 느비에엠 || 9th
 
| centième || (sɑ̃.tjɛm) || 백 번째
 
|-
|-
| dixième || 디시엠 || 10th
 
| millième || (mil.jɛm) || 천 번째
 
|}
|}


카디날 숫자와 달리, 오르디날 숫자는 "-ième"으로 끝나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서수는 주로 순서를 나타낼 때 사용되며, 예를 들어 "C'est le premier jour." (첫 번째 날입니다.)와 같이 표현할 수 있습니다.
 
=== 연습 문제와 해답 ===
 
이제 여러분이 배운 내용을 바탕으로 연습 문제를 풀어보겠습니다. 각 문제를 풀고, 해답을 확인해 보세요.
 
==== 연습 문제 ====
 
1. 숫자 "5"를 프랑스어로 표현하세요.
 
2. "첫 번째"를 프랑스어로 어떻게 말하나요?
 
3. 숫자 "12"는 프랑스어로 어떻게 표현하나요?
 
4. "네 번째"는 프랑스어로 무엇인가요?
 
5. 숫자 "20"를 사용하여 문장을 만드세요.
 
==== 해답 ====
 
1. cinq


== 4. 연습 문제 ==
2. premier


* 다음 프랑스어 숫자를 한국어로 번역해보세요.
3. douze
** 25
** 48
** 73
** 99
** 100


* 다음 프랑스어 숫자를 한국어로 번역해보세요.
4. quatrième
** 3rd
** 7th
** 10th


== 5. 결론 ==
5. "Il y a vingt livres." (책이 스무 권 있습니다.)


이번 수업에서는 프랑스어 카디날 숫자와 오르디날 숫자를 배우게 되었습니다. 이제 프랑스어 숫자를 사용할 있게 되었으니, 실제 상황에서 사용해보세요!
이제 기수와 서수를 잘 이해하셨나요? 반복적으로 연습하면서 자연스럽게 익힐 있도록 노력해 보세요! 앞으로 더 많은 프랑스어를 배우는 데 도움이 될 것입니다.


{{#seo:
{{#seo:
|title=프랑스어 어휘 0 to A1 Course 숫자
 
|keywords=프랑스어, 어휘, 숫자, 카디날, 오르디날, 초급, 초보자, 프랑스어 숫자, 프랑스어 카디날 숫자, 프랑스어 오르디날 숫자
|title=프랑스어 기수와 서수 배우기
|description=이번 수업에서는 프랑스어 카디날(Cardinal) 숫자와 오르디날(Ordinal) 숫자를 배우게 됩니다. 프랑스어 초보자를 위한 어휘 수업입니다.
 
|keywords=프랑스어, 기수, 서수, 숫자, 어휘, 초급
 
|description=이번 수업에서는 프랑스어의 기수와 서수에 대해 배우고, 이를 활용하는 방법을 익힙니다.
 
}}
}}


{{French-0-to-A1-Course-TOC-ko}}
{{Template:French-0-to-A1-Course-TOC-ko}}


[[Category:Course]]
[[Category:Course]]
Line 138: Line 257:
[[Category:0-to-A1-Course]]
[[Category:0-to-A1-Course]]
[[Category:French-0-to-A1-Course]]
[[Category:French-0-to-A1-Course]]
<span openai_trad_correc_php></span> <span gpt></span> <span model=gpt-3.5-turbo></span> <span temperature=0.7></span>
<span openai_correct_model></span> <span gpt></span> <span model=gpt-4o-mini></span> <span temperature=0.7></span>
 
 


==기타 수업==
* [[Language/French/Vocabulary/Food-and-Eating-Habits/ko|0 to A1 과정 → 어휘 → 음식과 식습관]]
* [[Language/French/Vocabulary/Beverages-and-Drinking-Habits/ko|0 to A1 Course → 어휘 → 음료와 음주 습관]]
* [[Language/French/Vocabulary/Count-from-1-to-10/ko|Count from 1 to 10]]
* [[Language/French/Vocabulary/Music-and-Entertainment/ko|0 to A1 Course → 어휘 → 음악과 엔터테인먼트]]
* [[Language/French/Vocabulary/Sports-and-Fitness-Activities/ko|Sports and Fitness Activities]]
* [[Language/French/Vocabulary/Time-and-Dates/ko|0 to A1 Course → 어휘 → 시간과 날짜]]
* [[Language/French/Vocabulary/Romantic-Relationships/ko|0 to A1 Course → 어휘 → 로맨틱한 관계]]
* [[Language/French/Vocabulary/Family-Members/ko|0~A1 코스 → 어휘 → 가족 구성원]]


{{French-Page-Bottom}}
{{French-Page-Bottom}}

Latest revision as of 20:49, 8 August 2024


French-Language-PolyglotClub.png
프랑스어 어휘0부터 A1 코스기수와 서수

서론[edit | edit source]

프랑스어를 배우는 데 있어 기수(cardinal numbers)와 서수(ordinal numbers)는 매우 중요한 요소입니다. 일상적인 대화에서 숫자를 사용하는 것은 필수적이며, 특히 나이, 날짜, 순서 등을 표현할 때 필요합니다. 이번 수업에서는 기수와 서수를 어떻게 표현하고 사용하는지에 대해 배울 것입니다. 기수는 단순히 수량을 나타내고, 서수는 순서를 나타내는 숫자입니다. 이 두 가지 숫자 체계를 잘 이해하고 활용하는 것이 프랑스어를 더욱 잘 구사하는 데 도움이 될 것입니다.

이번 수업의 구조는 다음과 같습니다:

1. 기수와 서수의 정의 및 중요성

2. 기수의 표현과 예시

3. 서수의 표현과 예시

4. 연습 문제와 그 해답

기수와 서수의 정의 및 중요성[edit | edit source]

기수는 우리가 물건의 수를 셀 때 사용하는 숫자입니다. 예를 들어, "하나", "둘", "셋" 등의 숫자가 기수입니다. 반면, 서수는 순서나 위치를 표현할 때 사용하는 숫자입니다. 예를 들어, "첫 번째", "두 번째", "세 번째" 등이 서수입니다.

이 두 가지 숫자 체계는 프랑스어에서 매우 자주 사용되므로, 이를 잘 이해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기수는 가격을 말할 때, 서수는 이벤트의 순서를 말할 때 등 여러 상황에서 필요합니다.

기수의 표현과 예시[edit | edit source]

프랑스어에서 기수는 다음과 같은 형식으로 표현됩니다:

French Pronunciation Korean
un (œ̃) 하나
deux (dø)
trois (tʁwɑ)
quatre (katʁ)
cinq (sɛ̃k) 다섯
six (sis) 여섯
sept (sɛt) 일곱
huit (ɥit) 여덟
neuf (nœf) 아홉
dix (dis)
vingt (vɛ̃) 스무
trente (tʁɑ̃t) 서른
quarante (kaʁɑ̃t) 마흔
cinquante (sɛ̃kɑ̃t)
soixante (swasɑ̃t) 예순
soixante-dix (swasɑ̃t-di) 일흔
quatre-vingts (katʁə-vɛ̃) 여든
quatre-vingt-dix (katʁə-vɛ̃-di) 아흔
cent (sɑ̃)
mille (mil)

기수는 주로 물건의 수를 세거나 가격을 말할 때 사용됩니다. 예를 들어, "Il y a deux pommes." (사과가 두 개 있습니다.)와 같이 사용할 수 있습니다.

서수의 표현과 예시[edit | edit source]

서수는 순서를 나타내는 숫자입니다. 프랑스어 서수는 기수에 특정한 접미사를 추가하여 형성됩니다. 기본적인 서수 표현은 다음과 같습니다:

French Pronunciation Korean
premier (pʁə.mje) 첫 번째
deuxième (dø.ziɛm) 두 번째
troisième (tʁwɑ.zjɛm) 세 번째
quatrième (ka.tʁi.ɛm) 네 번째
cinquième (sɛ̃k.jɛm) 다섯 번째
sixième (si.zjɛm) 여섯 번째
septième (sɛt.jɛm) 일곱 번째
huitième (ɥi.tjɛm) 여덟 번째
neuvième (nœ.vjɛm) 아홉 번째
dixième (di.zjɛm) 열 번째
vingtième (vɛ̃.tjɛm) 스무 번째
trentième (tʁɑ̃.tjɛm) 서른 번째
quarantième (ka.ʁɑ̃.tjɛm) 마흔 번째
cinquantième (sɛ̃.kɑ̃.tjɛm) 쉰 번째
soixantième (swa.sɑ̃.tjɛm) 예순 번째
soixante-dixième (swa.sɑ̃t.di.zjɛm) 일흔 번째
quatre-vingtième (ka.tʁə.vɛ̃.tjɛm) 여든 번째
quatre-vingt-dixième (ka.tʁə.vɛ̃.di.zjɛm) 아흔 번째
centième (sɑ̃.tjɛm) 백 번째
millième (mil.jɛm) 천 번째

서수는 주로 순서를 나타낼 때 사용되며, 예를 들어 "C'est le premier jour." (첫 번째 날입니다.)와 같이 표현할 수 있습니다.

연습 문제와 해답[edit | edit source]

이제 여러분이 배운 내용을 바탕으로 연습 문제를 풀어보겠습니다. 각 문제를 풀고, 해답을 확인해 보세요.

연습 문제[edit | edit source]

1. 숫자 "5"를 프랑스어로 표현하세요.

2. "첫 번째"를 프랑스어로 어떻게 말하나요?

3. 숫자 "12"는 프랑스어로 어떻게 표현하나요?

4. "네 번째"는 프랑스어로 무엇인가요?

5. 숫자 "20"를 사용하여 문장을 만드세요.

해답[edit | edit source]

1. cinq

2. premier

3. douze

4. quatrième

5. "Il y a vingt livres." (책이 스무 권 있습니다.)

이제 기수와 서수를 잘 이해하셨나요? 반복적으로 연습하면서 자연스럽게 익힐 수 있도록 노력해 보세요! 앞으로 더 많은 프랑스어를 배우는 데 도움이 될 것입니다.


기타 수업[edit | edit sourc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