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ifference between revisions of "Language/Thai/Grammar/Basic-Prepositions/ko"
< Language | Thai | Grammar | Basic-Prepositions
Jump to navigation
Jump to search
m (Quick edit) |
m (Quick edit) |
||
Line 67: | Line 67: | ||
<span gpt></span> <span model=gpt-3.5-turbo></span> <span temperature=0.7></span> | <span gpt></span> <span model=gpt-3.5-turbo></span> <span temperature=0.7></span> | ||
==기타 수업== | |||
* [[Language/Thai/Grammar/0-to-A1-Course/ko|0 to A1 Course]] | |||
* [[Language/Thai/Grammar/Adverbs-of-Frequency/ko|0 to A1 Course → 문법 → 빈도 부사]] | |||
* [[Language/Thai/Grammar/Subject-Pronouns/ko|0~A1 코스 → 문법 → 주어 대명사]] | |||
* [[Language/Thai/Grammar/Negative-Sentences/ko|0 to A1 Course → 문법 → 부정문]] | |||
* [[Language/Thai/Grammar/Object-Pronouns/ko|0 to A1 Course → 문법 → 목적어 대명사]] | |||
* [[Language/Thai/Grammar/Adverbs-of-Manner/ko|0 to A1 Course → 문법 → 유형부사]] | |||
* [[Language/Thai/Grammar/Adverbs-of-Time/ko|0 to A1 Course → 문법 → 시간 부사]] | |||
* [[Language/Thai/Grammar/Adjectives/ko|0 to A1 Course → 문법 → 형용사]] | |||
* [[Language/Thai/Grammar/Comparative-and-Superlative-Adverbs/ko|0 to A1 Course → 문법 → 비교급과 최상급 부사]] | |||
* [[Language/Thai/Grammar/Irregular-Verbs/ko|초급 0~A1 코스 → 문법 → 불규칙 동사]] | |||
* [[Language/Thai/Grammar/Verb-'To-Be'/ko|0 to A1 Course → 문법 → 동사 '이다']] | |||
* [[Language/Thai/Grammar/Questions/ko|0 to A1 Course → 문법 → 질문]] | |||
* [[Language/Thai/Grammar/Regular-Verbs/ko|제로에서 A1까지 태국어 과정 → 문법 → 정규 동사]] | |||
* [[Language/Thai/Grammar/Possessive-Pronouns/ko|0 to A1 Course → 문법 → 소유격 대명사]] | |||
{{Thai-Page-Bottom}} | {{Thai-Page-Bottom}} |
Revision as of 15:15, 15 May 2023
Heading level 1
태국어를 배울 때 가장 중요한 것은 전치사를 이해하는 것입니다. 전치사는 문장에서 명사나 대명사와 다른 단어들 사이의 관계를 나타내는 역할을 합니다. 이 강좌에서는 '안에', '위에', '밑에'와 같은 가장 기본적인 전치사를 배우게 될 것입니다.
Heading level 2
전치사 '안에'는 어떤 것이나 물체가 다른 것이나 물체 안에 있다는 것을 나타냅니다. 예를 들어, "나무 상자 안에 사과가 있다"는 문장에서 '안에'는 상자 안에 있는 사과를 나타냅니다.
태국어 | 발음 | 한국어 |
---|---|---|
ใน | nai | 안에 |
- 나무 상자 안에 사과가 있다.
- 책상 안에 연필이 있다.
Heading level 2
전치사 '위에'는 어떤 것이나 물체가 다른 것이나 물체 위에 있다는 것을 나타냅니다. 예를 들어, "책상 위에 컴퓨터가 있다"는 문장에서 '위에'는 책상 위에 있는 컴퓨터를 나타냅니다.
태국어 | 발음 | 한국어 |
---|---|---|
บน | bon | 위에 |
- 책상 위에 컴퓨터가 있다.
- 종이 위에 연필을 놓았다.
Heading level 2
전치사 '밑에'는 어떤 것이나 물체가 다른 것이나 물체 아래에 있다는 것을 나타냅니다. 예를 들어, "책상 밑에 신발이 있다"는 문장에서 '밑에'는 책상 아래에 있는 신발을 나타냅니다.
태국어 | 발음 | 한국어 |
---|---|---|
ใต้ | dtai | 밑에 |
- 책상 밑에 신발이 있다.
- 베개 밑에 책이 있다.
Heading level 1
이 강좌에서는 '안에', '위에', '밑에'와 같은 가장 기본적인 전치사를 배웠습니다. 이제 이러한 전치사를 사용하여 태국어 문장을 만들 수 있습니다. 다음 강좌에서는 더욱 복잡한 전치사를 배워보겠습니다.
기타 수업
- 0 to A1 Course
- 0 to A1 Course → 문법 → 빈도 부사
- 0~A1 코스 → 문법 → 주어 대명사
- 0 to A1 Course → 문법 → 부정문
- 0 to A1 Course → 문법 → 목적어 대명사
- 0 to A1 Course → 문법 → 유형부사
- 0 to A1 Course → 문법 → 시간 부사
- 0 to A1 Course → 문법 → 형용사
- 0 to A1 Course → 문법 → 비교급과 최상급 부사
- 초급 0~A1 코스 → 문법 → 불규칙 동사
- 0 to A1 Course → 문법 → 동사 '이다'
- 0 to A1 Course → 문법 → 질문
- 제로에서 A1까지 태국어 과정 → 문법 → 정규 동사
- 0 to A1 Course → 문법 → 소유격 대명사